1. 직장에서의 정신건강
1) 부하와 부담 그리고 과부하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처리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많아질수록 어려워진다. 심신 기능에 발생하는 부하(load)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스트레스 원(Stressor)이다. 부하 혹은 부담(burden)의 증가로 인한 과부하(over load)는 보유한 용량이 과제로부터 요구되는 용량의 수준에 미치지 못할 때 발생하게 된다. 부하는 과제의 난이도나 개수가 증가할 때 나타나며 보유한 용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나타난다.
Klebelsberg(1989)는 사용할 수 있는 정보 용량(수행 용량)을 100%라고 가정할 때, 자동화된 작업은 정보 용량의 약 40%, 생리적 작업 준비를 위해서는 용량의 약 50%, 통상적인 예비를 위해서는 용량의 약 80%까지 그리고 자기방어적 예비를 위해서는 용량의 약 80% 이상을 사용하게 된다고 하였다. 작업 종류와 사용할 수 있는 정보 용량이 다르게 되면 부하나 부담 혹은 과부하를 경험하게 된다. 부하는 자동화된 작업과 생리적 작업 준비를 범위로 한다. 부담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예비를 범위로 하고 과부하는 긴급한 반응에 사용하는 자기방어적 예비를 범위로 한다.
Schmidtke(1973)는 부하(load)와 부담(burden)의 경계를 생리 현상 차이로 기술하였다. 심장박동이 1분에 30회 이상 증가하고, 호흡이 균형을 유지하며, 상황 종료 후에는 맥박이 안정된 상태로 즉시 돌아올 수 있는 상태이면 부하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생리 현상이 부하 상태 이상을 유지하게 되면 부담이라고 설명하는데, 과부하(over load)는 부하가 매우 높은 수준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 부하 측정
시간-선분 모델(Time-Lind Model)에 따르면 작업부하는 과제를 수행하도록 주어진 가용시간(Available Time: AT)에 대한 과제 수행을 위해 실제로 필요한 시간(Required Time: RT)의 비율로 정의된다. 즉, TR/AT의 비율이 1.0을 넘어갈 경우, 작업자는 과제들을 수행할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작업부하를 느낄 수 있다. Kuting(1976)은 다수의 생리적 지표를 부담과 연관시켜 추론해 보았지만 일치된 결과가 많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생리적 지표로만 부하를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생리적 지표들과 부하의 관계보다 더 바람직한 관계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부하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실효적인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하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는 심박률이나 뇌파 혹은 GSR 같은 생리적 측정치들이다.
(2) 과부하의 문제
Caplan과 Jones(1975)는 세 가지 요인(불안, 분노, 우울)으로 구성된 A유형 성격 질문지를 사용하여 A유형과 작업부하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불안, 분노, 우울 가운데 불안은 작업부하 수준(지표는 높은 심박수)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Greenglass, Burke와 Moore(2003)의 연구에서도 합병과 인원 감축으로 인해 짧은 시간에 많은 일을 하게 된 간호사들은 냉소적 감정이나 정서적 소진감, 탈진, 분노와 같은 심리적 고통을 더 많이 호소하였다.
버스 운전자의 작업부하와 건강, 삶의 질 등에 대한 조사에서도 작업부하를 많이 느끼는 버스 운전자일수록 일을 마치고 난 후에 극도의 피로를 호소할 뿐만 아니라 긴장을 푸는 것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작업부하는 버스 운행 일정 때문에 서두르는 정도, 시간 압력을 느끼는 정도, 운행 일정을 지키기 위해 느끼는 긴장의 정도 등 주로 운행 계획과 관련된 부담을 측정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버스 운전자가 정해진 운행 일정과 이에 따라 유발되는 시간적인 압력에 관해 부담을 느낄 수 있으며 과부하로 인해 피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antanen과 Goldberg(1999)는 실험참가자에게 신호음 탐지 과제(tone counting tasks)를 주고 골드만 시야계(Goldman visual perimeter)를 이용해 신호음 탐지 과제로 발생하는 작업부하가 시각영역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중간 수준의 작업부하를 느낀 실험참가자들은 시각영역 크기가 92.2%로 약 8%가 감소하였고, 높은 수준의 작업부하를 느낀 실험참가자의 시각영역 크기는 86.41%로 약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영진과 김제승(2005)도 제한된 반응시간에서 과도한 정신적 부하가 작업자의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들은 실험참가자들에게 위험 수위를 나타내는 여러 개의 계기판을 보여주고 실험참가자로 하여금 계기판이 위험 수위에 도달하면 키보드를 누르도록 지시했다. 실험 결과, 제공받은 계기판 수가 많은 집단, 즉 처리해야 할 작업량이 많아 작업부하 수준이 높았던 실험참가자들은 계기판의 위험수위가 끝에 도달할 때 반응하는 시간이 비교 집단에 비해 늦었고, 오동작 횟수도 많았으며, 반응 실패 횟수도 많았다. 또 계기판 작업에 부가적인 단어(단어회상 과제)가 추가되면 반응 실패 횟수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과부하가 실수를 증가시킨다는 명확한 증거이며, 실수로 인해 사고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강동묵, 손병민 외 6명(2004)은 주물업과 선박 건조업, 정밀기계 조립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작업부하가 타액(코르티솔)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코르티솔(cortisol)의 농도는 과부하의 수준을 나타내는 생리적 지표 중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코르티솔 농도의 변동 폭이 클수록 높은 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작업량이 많은 작업자들의 코르티솔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높은 작업부하를 가진 작업자들은 타액 속 코르티솔 농도의 변화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에 관한 학회 보고에 의하면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10명의 직장인 중 8명이 질병을 앓고 있거나, 전체의 50%에 가까운 직장인들이 스트레스로 인해 직장을 옮겼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직장인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개인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결과적으로 조직에도 생산성 저하와 비용 증대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건강 검진 대상자 조회 하는법 (2) | 2024.12.08 |
---|---|
갈등 관리와 의사 결정 - 설득2 (2) | 2024.12.03 |
갈등 관리와 의사 결정 – 8. 설득 (1) | 2024.12.02 |
갈등 관리와 의사 결정 – 7. 의사소통 장애와 극복 (0) | 2024.12.01 |
갈등 관리와 의사 결정 – 6. 의사소통 방법 (1) | 2024.12.01 |